지능이란 착한 정도와도 같고, 따라서 자신의 한계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Intelligence equals goodness, so it is important to know your limits
양자 이론에서 (그리고 실제로도) 지능 발달은 원하는 바를 솔직하게 그대로 전달하는 정직함과,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창의력으로 나뉘어집니다. 두 가지를 곱하면 마름모 꼴로 나타나는데 이를 지능이라고 합니다. 둘 다 충족되있으면 그대로 아무때나 기부를 할 수 있는 환경에 사는 똑똑한(착한) 사람이 됩니다. 하지만 왼쪽(창의력)으로 기울수록 자신이 무조건 착하다고 믿는 사람이 되고 오른쪽(정직함)으로 기울수록 남에게 무조건 나쁜 짓을 해도 된다고 믿는 사람이 됩니다.
사람마다 최대한 노력해서 얻을 수 있는 정도는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창의적인 사람이라면 왜 자신이 착한지 이유까지 말할 수 있도록, 자신이 정직한 사람이라면 왜 자신이 나쁜 짓을 하지 않았는지 결과까지 말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이는 기본 교육 및 공교육에서는 확실하게 가르치지 않는 부분이고 따라서 현재는 가정 교육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In quantum theory (and in practice) intellectual development is divided into honesty, which is the candid expression of what you want, and creativity, which expresses it in a roundabout. When you multiply two things, you get a diamond shape, which is called intelligence. If both are met, you will become a smart (good) person living in an environment where you can donate at any time. On the other hands, The more you lean to the left (creativity), the more you become a person who unconditionally believes that you are good. The more he leans to the right (honesty), the more he believes it's okay to do bad things to others.
Each person is different, so if you are a creative person, you should be able to tell why you are good as reason, and if you are an honest person, you should also be able to tell the result of why you did not do bad things. This is something that is not precisely taught in basic education and public education, so I think it should be taught at home for now.
댓글
댓글 쓰기